퍼블리싱 작업 완료 후 확인해야 하는 부분
2021. 6. 16. 15:43ㆍ코딩공부
반응형
실무에서 퍼블리싱 작업을 하다보면 꼭 해야하지만 까먹는 부분이 있어 정리해본다.
작업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html, css, script 작성이 완료되면
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해 내가 만든 작업물을 확인 후 컨펌을 보낸다.
1. 크로스브라우징
- ie에서만 돌아가면 대부분 돌아간다. 먼저 ie 확인 후, 다른 부분 수정을 하고 다른 브라우저들 확인할 것.
2. 모바일
- 개발자도구로 모바일 사이즈만 확인하는 것이 아닌 직접 핸드폰으로 확인해 볼 것.
아이폰의 경우 주소줄 등에 의해 높이가 더 짧아지므로 유의.
3. w3c validator
- html, css의 웹표준 검사는 필수
4. OpenWax
- 크롬의 익스텐션 중 하나로 웹접근성을 점수로 세분화하여 체크해준다.
위의 4가지 항목은 신입퍼블리셔에게 필수!
+)) 추가
개발자 도구의 lighthouse와 지난 포스팅의 pagespeed insights 도 체크해보면 좋다.
(둘 다 같은 기능이므로 둘 중 하나만 보면 된다.)
2021.05.13 - [코딩공부] - 퍼블리싱 기본 이해 ( http https 차이, 파싱 뜻, 페이지 속도 )
퍼블리싱 기본 이해 ( http https 차이, 파싱 뜻, 페이지 속도 )
http / https http :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모두에게 공개. 엄청 가벼운 것이 장점. 요청 프로세스가 짧으므로 쿠키를 사용하고 그래서 보안에 취약 https : 보안인증서를 사용하는 절차로 요청 프로세
aboveimagine.tistory.com
반응형
'코딩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미지 사이즈 줄이기, 용량 압축 (feat 포토샵& tinyPNG) (0) | 2021.07.19 |
---|---|
모바일 웹 vs 웹 앱 차이점 feat. 네이티브앱, 하이브리드앱 (0) | 2021.06.16 |
퍼블리싱 기본 이해 ( http https 차이, 파싱 뜻, 페이지 속도 ) (0) | 2021.05.13 |
반응형 작업 시 유의점 (0) | 2021.04.29 |
다양한 퍼블리싱 회사 차이점 ( si, sm, 사이트운영/관리 ) (0) | 2021.04.14 |